목차
728x90
- 내장함수
: SQL에서는 함수의 개념을 사용함.
수학의 함수와 마찬가지로 특정 값이나 열의 값을 입력받아 그 값은 계산하여 결과 값을 돌려줌
- 주요 숫자 함수
함수 | 설명 | 함수 | 설명 |
ABS(숫자) | 숫자의 절댓값을 반환 ABS(-4.5) => 4.5 |
SIN | COS | TAN(숫자) | 숫자의 삼각함수 값을 계산 TAN(1.75) => -5.52037992250933 |
CEIL(숫자) | 숫자보다 크거나 같은 최소의 정수 반환 CEIL(4.1) => 5 |
EXP(숫자) | 숫자의 e의 거듭제곰을 반환 EXP(1) => 2.718281828459045 |
FLOOR(숫자) | 숫자보다 작거나 같은 최대의 정수 반환 FLOOR(4.1) => 4 |
LN(숫자) | 숫자의 자연로그 값을 반환 LN(2) => 0.6931471805599453 |
ROUND(숫자, m) | 숫자의 반올림 반환, m은 반올림 기준 자릿수 ROUND(5.36, 1) => 5.40 |
MOD(숫자1, 숫자2) | 숫자1을 숫자2로 나누어 나머지를 반환 MOD(18,4) => 2 |
LOG(n, 숫자) | 숫자의 자연로그 값을 반환 LOG(10) => 2.30259 |
RAND() | 0과 1 사이의 무작위 숫자를 반환 (0 ≤ x < 1) RAND() => 0.6062292536778648 |
POWER(숫자, n) | 숫자의 n제곱 값을 반환 POWER(2, 3) => 8 |
TRUNCATE(숫자, m) | 숫자를 m소수점 자리에서 잘라서 버림 (m Default 값은 0) TRUNCATE(135.375, 2) => 135.37 |
SQRT(숫자) | 숫자의 제곱근 값을 반환(숫자는 양수) SQRT(9.0) => 3.0 |
||
SIGN(숫자) | 숫자가 음수면 -1, 0이면 0, 양수면 1을 반환 SIGN(3.45) => 1 |
- 주요 날짜, 시간 함수
함수 | 반환형 | 설명 |
STR_TO_DATE(string, format) | DATE | 문자열(STRING) 데이터를 날짜형(DATE)으로 변환 STR_TO_DATE('2019-12-01', '%Y-%M-%D') => 2019-12-01 |
DATE_FORMAT(date, format) | STRING | 날짜형(DATE) 데이터를 문자열(VARCHAR)로 반환 DATE_FORMAT('2019-02-14', '%Y-%m-%d') => '2019-02-14' |
ADDDATE(date, interval) | DATE | DATE 형의 날짜에서 INTERVAL 지정한 시간만큼 더함 ADDDATE('2019-02-14', INTERVAL 10 DAY) => 2019-02-24 |
DATE(date) | DATE | DATE 형의 날짜 부분을 반환 SELECT DATE('2003-12-31 01:02:03'); => 2003-12-31 |
DATEDIFF(date1, date2) | INTEGER | DATE 형의 date1 – date2 날짜 차이를 반환 SELECT DATEDIFF('2019-02-14', '2019-02-04') => 10 |
SYSDATE | DATE | DBMS 시스템상의 오늘 날짜를 반환하는 함수 SYSDATE() => 2018-06-30 21:47:01 |
728x90
'DB' 카테고리의 다른 글
1-2 DB 명령어_MySQL Command Line Client (0) | 2024.03.12 |
---|---|
1-1 DB 개요 (0) | 2024.03.11 |
728x90
- 내장함수
: SQL에서는 함수의 개념을 사용함.
수학의 함수와 마찬가지로 특정 값이나 열의 값을 입력받아 그 값은 계산하여 결과 값을 돌려줌
- 주요 숫자 함수
함수 | 설명 | 함수 | 설명 |
ABS(숫자) | 숫자의 절댓값을 반환 ABS(-4.5) => 4.5 |
SIN | COS | TAN(숫자) | 숫자의 삼각함수 값을 계산 TAN(1.75) => -5.52037992250933 |
CEIL(숫자) | 숫자보다 크거나 같은 최소의 정수 반환 CEIL(4.1) => 5 |
EXP(숫자) | 숫자의 e의 거듭제곰을 반환 EXP(1) => 2.718281828459045 |
FLOOR(숫자) | 숫자보다 작거나 같은 최대의 정수 반환 FLOOR(4.1) => 4 |
LN(숫자) | 숫자의 자연로그 값을 반환 LN(2) => 0.6931471805599453 |
ROUND(숫자, m) | 숫자의 반올림 반환, m은 반올림 기준 자릿수 ROUND(5.36, 1) => 5.40 |
MOD(숫자1, 숫자2) | 숫자1을 숫자2로 나누어 나머지를 반환 MOD(18,4) => 2 |
LOG(n, 숫자) | 숫자의 자연로그 값을 반환 LOG(10) => 2.30259 |
RAND() | 0과 1 사이의 무작위 숫자를 반환 (0 ≤ x < 1) RAND() => 0.6062292536778648 |
POWER(숫자, n) | 숫자의 n제곱 값을 반환 POWER(2, 3) => 8 |
TRUNCATE(숫자, m) | 숫자를 m소수점 자리에서 잘라서 버림 (m Default 값은 0) TRUNCATE(135.375, 2) => 135.37 |
SQRT(숫자) | 숫자의 제곱근 값을 반환(숫자는 양수) SQRT(9.0) => 3.0 |
||
SIGN(숫자) | 숫자가 음수면 -1, 0이면 0, 양수면 1을 반환 SIGN(3.45) => 1 |
- 주요 날짜, 시간 함수
함수 | 반환형 | 설명 |
STR_TO_DATE(string, format) | DATE | 문자열(STRING) 데이터를 날짜형(DATE)으로 변환 STR_TO_DATE('2019-12-01', '%Y-%M-%D') => 2019-12-01 |
DATE_FORMAT(date, format) | STRING | 날짜형(DATE) 데이터를 문자열(VARCHAR)로 반환 DATE_FORMAT('2019-02-14', '%Y-%m-%d') => '2019-02-14' |
ADDDATE(date, interval) | DATE | DATE 형의 날짜에서 INTERVAL 지정한 시간만큼 더함 ADDDATE('2019-02-14', INTERVAL 10 DAY) => 2019-02-24 |
DATE(date) | DATE | DATE 형의 날짜 부분을 반환 SELECT DATE('2003-12-31 01:02:03'); => 2003-12-31 |
DATEDIFF(date1, date2) | INTEGER | DATE 형의 date1 – date2 날짜 차이를 반환 SELECT DATEDIFF('2019-02-14', '2019-02-04') => 10 |
SYSDATE | DATE | DBMS 시스템상의 오늘 날짜를 반환하는 함수 SYSDATE() => 2018-06-30 21:47:01 |
728x90
'DB' 카테고리의 다른 글
1-2 DB 명령어_MySQL Command Line Client (0) | 2024.03.12 |
---|---|
1-1 DB 개요 (0) | 2024.03.1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