할당 연산자(Assignment Operator) : 자바스크립트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연산자이다. 변수에 값을 할당하는 것 뿐만아니라 산술 연술자와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. 할당 연산자 응용 예 뜻 += y += x y = y + x -= y -= x y = y - x *= y *= x y = y * x /= y /= x y = y / x %= y %= x y = y % x 논리 연산자(부울 연산자, 불리언 연산자 라고도 함) : true와 false를 처리하는 연산자. OR 연산자 || 기호로 표시한다. 하나라도 맞으면 true. 둘다 틀리면 false. A B X X false X O true O X true O O true AND 연산자 && 기호로 표시한다. 양쪽 모두가 참인 경우에만 tru..
자료형(Data Type)이란? -> 컴퓨터가 처리하는 자료의 형태를 말한다. 자바스크립트의 자료형은 기본형과 복합형으로 구분한다. 기본형(값이 하나) 숫자(number) : 따옴표 없이 표기한 숫자 (정수와 실수 모두 number) 문자열(string) : 작은 따옴표나 큰 따옴표로 묶어서 나타냄 논리형(boolean) : 참(true)과 거짓(false) 두 가지 값만 가지고 있는 유형 undefined : 자료형을 지정하지 않았을 때. 변수를 선언만하고 값을 정의하지 않은 경우 null : 값이 유효하지 않을 때 복합형(여러 값을 한꺼번에 담고있음) 배열(array) : 하나의 변수에 여러 값을 저장 객체(object) : 함수와 속성이 함께 포함 자료형을 확인하는 방법으로는 typeof 연산자를 ..
먼저, 자바스크립트에서 변수는 변하는 값을 저장하기 위한 공간이라 할 수 있다. 예를 들어 두 수의 합을 계산하여 결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만들 때 사용자가 입력하는 두 수가 매번 같지 않을테니 이럴때 상황에 따라 다른 값을 입력 받아야할 경우 변수를 사용한다. 상수, 변수란? 변하지 않는 값을 상수(Constant)라고 한다. 상황에 따라 변할 수 있는 값을 변수(Variable)라고 한다. 변수를 선언하는 규칙 변수의 이름은 의미가 나타나도록 지어야한다. - 의미를 나타내고 가독성이 좋도록 명확하고 간결하게 정하는 것이 좋다. 코드를 이해하고 기억하기 쉬워진다. 변수의 이름은 낙타 표기법(camel case)으로 작성해야한다. - 낙타 표기법이란 여러 단어로 이루어진 변수 이름을 작성할 때 첫번째 단..
html문서에 자바스크립트 작성하는 방법 실행 결과 2. 외부 스크립트 파일 연결하는 방법 js폴더 생성 후 Ctrl+N 눌러 새 문서 만들기 Ctrl+S 눌러 제목을 gifok.js로 설정 후 js폴더 안에 저장 색깔 바꾸기 html 파일에서 실행해보면 처음과 같이 기록기록을 클릭하면 색이 변하게 된다. 3. 자바스크립트의 입력과 출력 ☆ 크롬 부라우저의 콘솔 도구 (콘솔은 자바스크립트 소스를 간편하기 연습해 볼 수 있는 도구이다.) 크롬 브라우저를 실행하여 주소 표시줄에 about:blank라고 입력하면 빈 창이 나타난다. Ctrl + Shift + J 를 누르면 화면 아래에 콘솔 창이 열린다. 사용자 입력값 받기 콘솔 창에 떠있는 > 기호 오른쪽 부분을 마우스로 누른 다음 아래 소스를 입력해보자. ..